반응형
항생제 내성, 치료가 필요한 시기에 치료 효과 못할 수도
"체계적인 감시와 인식 변화 필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항생제(antibiotic) 감시 체계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14일 OECD가 발간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3'(Health at a Glance 2023) 자료는 항생제 내성 문제는 주요 공공보건 문제로 다뤘다.
항생제란 세균을 죽이거나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약을 말한다. 각종 질병의 증상을 빠르게 없애주지만, 내성 문제 탓에 인류의 건강에 중요한 위협이 되고 있다. 항생제 내성은 복용 중인 항생제가 병을 일으킨 세균을 더 이상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할 때 생긴다.
OECD는 항생제 오남용은 내성을 만들며, 이렇데 될 경우 치료가 필요한 시기에도 항생제가 제대로 된 치료 효과를 내지 못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OECD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연간 항생제 판매는 2% 정도 증가했으며, OECD 국가 중 3분의 1 이상이 국제보건기구(WHO)의 항생제 소비 감축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OECD 국가에서 약 20%의 감염은 항생제 내성 탓에 생기며, 적극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감염은 2035년까지 2005년 대비 2.1배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통계에 따르면 매년 약 7만 9000명이 34개 OECD 및 유럽연합(EU) 및 유럽경제구역(EEA) 국가에서 항생제 내성 감염으로 사망한다. 주요 사망 원인 세균은 대장균, 폐렴균, 황색포도상구균이며, 노인과 영유아가 특히 위험하다.
2021년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 당 16.0 DDD에 달한다. OECD 38개국 평균(13.1)보다 2.9 많은 것이다. DDD는 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이다. 2011년 24.3에 비해서는 크게 줄어든 편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처방량이 많은 편에 속한다.
2021년 기준 항생제를 비교적 적게 쓰는 나라는 오스트리아(7.2)였으며, 네덜란드(7.6)와 독일(8.1)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OECD 국가로는 그리스(21.7), 프랑스(19.3), 폴란드(18.8) 등이 꼽혔다.
OECD는 "이들 국가에서 내성 감염 치료 비용은 매년 28.9억 달러(약 3조 8356억 원)를 넘어설 수 있다"면서 "이는 병원 체류 기간 장기화와 노동력 저하를 고려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감염 통제 강화, 항생제 사용 최적화, 감시 시스템 확대 등 적극적인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 코메디닷컴.
항생제 가급적 피해야... 항생제 무섭다.
반응형